본문 바로가기
슬기로운 경제생활

2025년 개정된 청년도약계좌! 주요 변경 사항 완벽 정리

by 슬생가이더 2025. 1. 31.

 

 

안녕하세요! 경제 관련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슬생가이더입니다.

2025년부터 청년도약계좌가 개편되면서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는데요. 이번 개정으로 기여금 확대, 유지 혜택 강화, 신용점수 가점 부여, 부분인출 서비스 도입 등이 추가되었습니다. 지금부터 2025년 기준 달라진 내용 위주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 2025청년도약계좌변경내용


1. 기여금 지원 확대

2025년부터 정부의 기여금 지원이 확대됩니다. 기존에는 월 최대 2.4만 원까지 지원되었지만, 이제 월 최대 3.3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별 기여금 지원 (2025년 개정 기준)

  • 연소득 2,400만 원 이하 → 월 33,000원
  • 연소득 2,400만 원 초과 ~ 3,600만 원 이하 → 월 27,000원
  • 연소득 3,600만 원 초과 ~ 4,800만 원 이하 → 월 22,000원

기여금 매칭 한도를 초과한 납입분에 대해서도 기여금 미지급 대신 납입한 금액을 그대로 전액 저축할 수 있어 연 최대 5.54%~9.54%의 일반 적금 상품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3년 이상 유지 시 혜택 강화

기존에는 5년 만기 전 중도해지 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었지만, 이제 3년 이상 유지하면 일부 혜택이 가능합니다.

2025년 개정 혜택

  • 만기(5년) 도래 전 3년 이상 유지 후 해지할 경우비과세 유지 및 기여금 60% 지급
  • 연 최대 7.64%의 일반 적금 상품 효과 기대 가능

즉, 3년 이상 유지하면 기존보다 훨씬 유리한 조건으로 해지가 가능해졌습니다.


3. 성실납입 시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부여

기존에는 가입 유지 기간에 따라 별도의 신용평가점수 가점이 없었지만, 이제 청년도약계좌 성실납입 시 신용점수가 가산됩니다.

2025년 개정 기준

  • 2년 이상, 연 800만 원 이상 납입 시 → 개인신용평가 점수 최소 5~10점 가산 (KCB, NICE 기준)
  •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납입이력 자동 연결 (추후 대출 등에서 긍정적 요소로 활용 가능)

즉, 꾸준히 납입하면 신용점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부분인출 서비스 이용 가능

기존에는 만기 전까지 부분 인출이 불가능했지만, 2025년부터 일부 금액을 인출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2025년 개정 기준

  • 2년 이상 유지한 경우 → 납입금의 40% 이내에서 부분인출 가능

즉, 갑자기 돈이 필요할 때 계좌를 해지하지 않고도 일정 부분을 인출할 수 있어 유연한 자산 관리가 가능해졌습니다.


5. 결론 – 2025년 청년도약계좌, 가입할까?

2025년 개정된 청년도약계좌는 더 높은 기여금, 중도해지 시 비과세 유지, 신용점수 가점, 부분인출 기능 등 다양한 혜택이 추가되어 기존보다 훨씬 유리해졌습니다.

가입 대상이라면 이런 좋은 혜택을 놓치지 말고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세요!


 

 

이 글이 유익했다면, 공감과 공유 부탁드립니다 😊